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족연금 조건, 금액 (2025년 신청방법)

by 최신글 15분전 2025. 5. 4.

2025년 기준으로 유족연금 조건, 금액 등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을 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읽어보세요.

 

유족연금 조건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수급자가 사망했을 때, 남겨진 가족(유족)에게 지급되는 연금입니다.
이는 국민연금 제도의 사회보장적 성격 중 하나로, 사망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 가족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지급 대상자 예시
1. 국민연금 가입 중 사망한 사람

2. 국민연금 수령 중 사망한 사람

3. 연금 수급 요건을 충족한 채 사망한 사람

 

▶ 유족연금 수급 가능 유족은?
유족연금은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 순위에 따라 우선순위 유족에게 지급됩니다.

 

수급 우선순위
1. 배우자 (이혼 전 배우자 제외)

2. 18세 미만 또는 장애 2급 이상 자녀

3. 60세 이상 부모 또는 장애 2급 이상 부모

4. 18세 미만 또는 장애 2급 이상 손자녀

5. 60세 이상 조부모

※ 위 순위 중 한 명이라도 해당되면, 그보다 낮은 순위 유족은 수급 불가

 

 

" 유족연금은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지금 바로 조회, 신청해보세요! "

 

 

유족일시금 신청 방법

✅ 방문신청 -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온라인 신청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정부24)

 

 

주의사항: 유족연금·일시금은 ‘신청해야 지급’됩니다
국민연금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유족이 ‘직접 신청’ 해야 하며, 신청기한은 사망일로부터 5년입니다.
이 기간을 넘기면 소멸시효가 발생해 받을 수 없습니다.

 

 

  준비 서류
1. 사망자 및 신청자 신분증

2. 사망진단서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3. 신청서(국민연금공단 또는 정부 24에서 다운로드 가능)

4. 통장 사본 등

 

 

정부 24 연금 민원 서비스에서 신청하기

정부24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www.gov.kr

 

 

유족연금 금액

 기본적으로 사망자가 받을 수 있었던 연금액의 일정 비율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금액은 가입기간, 사망 사유, 유족 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1. 기본연금액

유족연금의 기본은 사망한 사람이 받을 수 있었던 노령연금 또는 장애연금의 40~100%를 유족에게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2. 유족 가산금

유족연금은 아래 조건에 따라 가산금이 붙습니다.

 

 

 

 

유족연금 대신 일시금을 수령하는 조건

✅ 유족연금 대신 일시금을 수령하는 조건

 

 


구분 설명
① 연금 수급 요건 미충족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이고, 유족연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② 유족이 없거나 수급권자가 없을 경우 사망자의 유족 중 수급요건에 해당하는 자가 없을 경우
③ 수급권자였지만 5년 이내 청구하지 않은 경우 유족이 연금 신청을 하지 않고 5년이 경과한 경우 (소멸시효)
④ 수급자가 연금 대신 일시금 수령을 선택한 경우 일정 조건을 충족한 유족이 연금 대신 일시금을 신청한 경우

유족일시금 수급 조건과 기준
유족일시금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연금 수급자가 사망했지만,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유족 1인에게 일시불로 지급됩니다.

 

✅ 주요 조건 요약
항목 내용
1. 지급 대상 유족연금 수급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유족 1인
2. 지급 우선순위 배우자 → 자녀 → 부모 → 손자녀 → 조부모
3. 지급 시점 사망 사실이 확인된 후 유족 신청 시
4. 신청 기한 사망일로부터 5년 이내 (초과 시 소멸)
5. 지급 금액 국민연금 가입 중 납부한 보엄료(본인 부담분) 전액에 이자 소액 가산

 

유족연금과 일시금 중복 수령 가능할까?
기본적으로 중복 수령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추가 일시금이 일부 지급될 수 있습니다.

 

✅ 반환일시금 일부 지급 (추가일시금) 조건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가 사망한 경우

유족연금이 지급되지만, 이미 납부한 보엄료 총액이 유족연금 수령액보다 클 경우

이 차액에 대해 추가 일시금 형태로 지급 (단, 일정 기준 충족 필요)

 

유족연금 일시금, 어느 쪽이 더 유리할까?

유족연금과 일시금, 어느 쪽이 더 유리할까?
이는 사망 당시의 가입 기간, 유족의 나이, 가구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공단에 상담을 요청하면 개인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유족의 권리를 꼭 챙기세요
사랑하는 가족을 잃는 것은 매우 큰 슬픔입니다.
그러나 남겨진 유족에게도 경제적인 권리와 보호 장치가 존재합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또는 유족일시금 제도는, 바로 그러한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가까운 가족이 국민연금 가입자였거나 수급자였다면, 사망 이후 반드시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거나 정부 24를 통해 확인 후 유족연금 또는 유족일시금 수령 조건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